맨위로가기

토겐부르크 백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겐부르크 백작은 중세 스위스의 유력 귀족 가문으로, 11세기 초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1세가 최초의 영주로 기록되면서 시작되었다. 1209년 디트헬름 1세와 프리드리히 1세 형제가 백작으로 승격되었으며, 이후 가문은 토겐부르크 백작령을 다스렸다. 14세기 후반에는 프리드리히 7세가 상속자 없이 사망하여,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가 1446년까지 백작령을 통치하면서 가문의 몰락을 맞이했다.

2. 토겐부르크 가문의 기원

토겐부르크 가문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최초로 기록된 가문의 영주는 1044년에 언급된 디트헬름 1세[7]이며, 아마도 가문의 창시자로 추정된다. 디트헬름 1세의 아들들인 베르톨트와 울리히도 같은 문서에서 확인되지만,[7] 이들 중 누가 가문의 계승을 이어갔는지는 불분명하다. 울리히 또는 풀크난트의 아들로 추정되는 풀크난트는 1081년에 사망했으며,[8] 디트헬름 2세는 1081년부터 1102년 이후까지 토겐부르크 영지를 다스렸다.[10] 이들 시대에 이르가르트라는 여성과 결혼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토겐부르크 가문원이 있었다.[9]

3. 토겐부르크 백작령의 성립과 발전

토겐부르크 가문은 11세기 초 토겐부르크 영지의 영주로 처음 등장했다.[7] 최초로 기록된 영주는 디트헬름 1세로, 1044년에 활동한 것으로 나타난다.[7] 그는 아마도 가문의 창시자로 추정된다.[7] 디트헬름 1세의 아들들인 베르톨트와 울리히 역시 1044년 문서에 등장하는데,[7] 이들이 형제였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아버지의 뒤를 이어 영지를 다스렸을 것으로 보인다.[7]

11세기 후반에는 풀크난트와 디트헬름 2세가 토겐부르크 영주로 기록되어 있다.[8][10] 이들은 울리히 또는 풀크난트의 아들일 가능성이 높지만, 누가 전임 백작의 뒤를 이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9]

12세기 초, 디트헬름 2세의 아들 디트헬름 3세가 영지를 계승하여 1146년까지 통치했다.[11] 이후 그의 아들 디트헬름 4세가 1176년까지 영주 자리를 이었다.[13] 디트헬름 4세는 티어슈타인의 이타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12]

디트헬름 5세는 1176년부터 1207년까지 토겐부르크 영지를 다스렸다.[14] 그는 리터하우스 부비콘에 중요한 기증을 했으며, 그곳에 묻혔다.[16] 그의 무덤에는 가족과 함께 프레스코화로 묘사되어 있다.[16]

100px


1209년, 디트헬름 5세의 아들들인 디트헬름 1세 "장로"와 프리드리히 1세는 백작으로 승격되었다.[14] 이후 토겐부르크 가문은 백작으로서 토겐부르크 백작령을 통치하게 되었다.

3. 1. 토겐부르크 백작령의 성립

토겐부르크 가문은 11세기 초 토겐부르크 영지의 영주로 처음 등장했다.[7] 최초로 기록된 영주는 디트헬름 1세로, 1044년에 활동한 것으로 나타난다.[7] 그는 아마도 가문의 창시자로 추정된다.[7] 디트헬름 1세의 아들들인 베르톨트와 울리히 역시 1044년 문서에 등장하는데,[7] 이들이 형제였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아버지의 뒤를 이어 영지를 다스렸을 것으로 보인다.[7]

11세기 후반에는 풀크난트와 디트헬름 2세가 토겐부르크 영주로 기록되어 있다.[8][10] 이들은 울리히 또는 풀크난트의 아들일 가능성이 높지만, 누가 전임 백작의 뒤를 이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9]

12세기 초, 디트헬름 2세의 아들 디트헬름 3세가 영지를 계승하여 1146년까지 통치했다.[11] 이후 그의 아들 디트헬름 4세가 1176년까지 영주 자리를 이었다.[13] 디트헬름 4세는 티어슈타인의 이타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12]

디트헬름 5세는 1176년부터 1207년까지 토겐부르크 영지를 다스렸다.[14] 그는 리터하우스 부비콘에 중요한 기증을 했으며, 그곳에 묻혔다.[16] 그의 무덤에는 가족과 함께 프레스코화로 묘사되어 있다.[16]

1209년, 디트헬름 5세의 아들들인 디트헬름 1세 "장로"와 프리드리히 1세는 백작으로 승격되었다.[14] 이후 토겐부르크 가문은 백작으로서 토겐부르크 백작령을 통치하게 되었다.

3. 2. 토겐부르크 백작령의 발전

토겐부르크 가문은 1044년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1세가 토겐부르크 영지의 영주로 처음 기록되면서 시작되었다.[7] 디트헬름 1세와 그의 아들들인 베르톨트와 울리히는 같은 문서를 통해 확인된다.[7] 이후 울리히 또는 풀크난트의 아들들로 추정되는 풀크난트와 디트헬름 2세가 1081년부터 1102년까지 토겐부르크 영지를 다스렸다.[8][9][10]

디트헬름 2세의 아들 디트헬름 3세는 1102년경부터 1146년경까지 통치했으며, 그의 여동생 쿤이군데는 슈틸링겐 가문의 귀족과 결혼했다.[11] 디트헬름 3세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디트헬름 4세가 1146년경부터 1176년경까지 통치했다.[12][13] 디트헬름 4세는 티어슈타인의 이타와 결혼하여 한 명의 자녀를 두었다.[12]

디트헬름 4세의 아들 디트헬름 5세는 1176년경부터 1207년까지 토겐부르크 영지를 다스렸으며,[14] 1192년경 리터하우스 부비콘에 중요한 기증을 했다.[16] 그는 그곳에 묻혔으며, 가족과 함께 프레스코화로 묘사되어 있다.[16] 디트헬름 5세의 두 아들 디트헬름 1세 "장로"와 프리드리히 1세는 1207년경부터 공동으로 통치하다가 1209년에 백작으로 승격되었다.[14] 프리드리히 1세가 1217년경 사망한 후,[18] 디트헬름 1세 "장로"는 1230년까지 단독으로 토겐부르크 백작령을 통치했다.[14]

디트헬름 1세 "장로"의 아들 디트헬름 2세 "젊은이"는 1230년부터 1235년까지 통치했으며,[14] 뇌샤텔의 게르트루데와 결혼하여 9명의 자녀를 두었다.[19] 디트헬름 2세의 아들들인 프리드리히 2세, 크라프트 1세 "음유 시인", 디트헬름 3세는 1235년부터 공동으로 통치했다.[14] 크라프트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두 아들 디트헬름 4세와 크라프트 2세가 공동 통치에 합류했다.[14]

프리드리히 2세의 조카인 프리드리히 3세는 1284년부터 1305년 또는 1309년까지 통치했으며,[14] 베르덴베르크의 클레멘티아와 결혼하여 5명의 자녀를 두었다.[23]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들인 크라프트 3세와 프리드리히 4세 "젊은이"는 1305년 또는 1309년부터 공동으로 통치했다.[14] 프리드리히 4세는 1315년 모르가르텐 전투에서 사망했다.[28][29]

프리드리히 4세의 아들들인 디트헬름 5세와 프리드리히 5세는 1315년부터 공동으로 통치했으며,[28] 삼촌 크라프트 3세가 1339년에 사망할 때까지 함께 통치했다.[30] 디트헬름 5세는 1337년 그리나우 전투에서 사망했다.[14] 프리드리히 5세는 1364년까지 통치했다.[33]

프리드리히 5세의 아들들인 프리드리히 6세, 디트헬름 6세, 도나트는 1364년부터 공동으로 통치했다.[2][36] 도나트는 1400년까지 통치했다.[38] 디트헬름 6세의 아들 프리드리히 7세는 1400년부터 1436년까지 통치했으며,[39] 그의 사망 이후 생존한 자녀가 없어 아내 엘리자베스를 상속자로 남겼다. 엘리자베스는 1446년까지 토겐부르크 백작령을 통치했다.[14]

3. 3. 토겐부르크 가문의 통치자 목록

군주출생재위통치 지역배우자사망비고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1세style="text-align:center;"|?fl.1044[7]토겐부르크 영지불명
최소 두 명의 자녀
?토겐부르크의 최초 기록된 영주[7]로, 아마도 가문의 창시자일 것이다.
베르톨트style="text-align:center;"|?
디트헬름 1세의 아들
fl.1044[7]토겐부르크 영지불명?아마도 형제였으며, 아버지와 동일한 문서를 통해 확인된다.[7] 그가 그의 뒤를 이었는지, 아니면 그의 동생 울리히를 통해 계승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울리히style="text-align:center;"|?
디트헬름 1세의 아들
불명?
풀크난트style="text-align:center;"|?
울리히 또는 풀크난트의 아들
? – 1081토겐부르크 영지불명1081[8]아마도 형제였지만, 누가 전임 백작의 뒤를 이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이 다음 세대에 속했을 가능성이 높다. 풀크난트와 디트헬름 2세 시대에 속하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토겐부르크가 있었는데, 이르가르트(알려진 해 1월 사망)라는 여성과 결혼했다.[9]
디트헬름 2세style="text-align:center;"|?
울리히 또는 풀크난트의 아들
1081 – 1102?토겐부르크 영지불명1102년 7월 14일 이후[10]
디트헬름 3세style="text-align:center;"|?
디트헬름 2세의 아들
c.1102 – c.1146토겐부르크 영지불명c.1146[11]슈틸링겐 가문 출신의 귀족과 결혼한 쿤이군데라는 여동생이 있다.[11]
디트헬름 4세style="text-align:center;"|?
디트헬름 3세의 아들
c.1146 – 1176?토겐부르크 영지티어슈타인의 이타[12] (성녀 토겐부르크의 이다?)
(1200/1226년 8월 19일 사망?)
자녀 1명
c.1176[13]
디트헬름 5세c.1140
디트헬름 4세 (그리고 이타?)의 아들
c.1176 – 1207[14]토겐부르크 영지이타?[15] (키르히베르크 출신?) (성녀 토겐부르크의 이다?)
자녀 1~2명
1205년 1월 4일 또는 1207년 1월 5일[16]
향년 64–67세
c.1192년 리터하우스 부비콘에 중요한 기증을 했다. 그는 그곳에 묻혔으며, 가족과 함께 프레스코화로 묘사되어 있다.
디트헬름 1세 "장로"
100px
c.1160
디트헬름 5세 (그리고 키르히베르크의 이타?)의 장남
c. 1207–1209[14]토겐부르크 영지라퍼스빌의 구타[17] (성녀 토겐부르크의 이다?)
(1170-1227년 11월 24일 또는 1227년 이후 사망)
1209년 이전 또는 경. 1209
자녀 3명
1230
향년 69–70세
아마도 공동으로 통치했다. 디트헬름은 영주로서 6세로 번호가 매겨졌다. 1209년에 형제는 백작으로 승격되었다. 프리드리히가 암살된 후, 디트헬름은 단독으로 통치했다.
1209–1230[14]토겐부르크 백작령
프리드리히 1세
100px
c.1160
디트헬름 5세 (그리고 이타?)의 차남
c. 1207–1209[14]토겐부르크 영지미혼c.1217[18]
향년 53–54세
1209–1217[14]토겐부르크 백작령
디트헬름 2세 "젊은이"1209
디트헬름 1세와 라퍼스빌의 구타의 아들
1230 – 1235년 1월 25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뇌샤텔의 게르트루데
경. 1220 또는 1221년 1월
자녀 9명
1235년 1월 25일[19]
향년 25–26세
|
프리드리히 2세c.1220
디트헬름 2세와 뇌샤텔의 게르트루데의 아들
1235년 1월 25일 – 1284년 4월 28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미혼1284년 4월 28일
향년 63–64세
프리드리히, 디트헬름, 크라프트는 디트헬름 2세의 아들로서 공동으로 통치했다. 크라프트가 사망한 후, 그는 전자의 두 맏아들 디트헬름과 크라프트 2세로 공동 통치에서 교체되었다.
크라프트 1세 "음유 시인"
100px
1228
디트헬름 2세와 뇌샤텔의 게르트루데의 아들
1235년 1월 25일 – 1249/54년 7월 15일[14]부스낭의 엘리자베스
(1277년 1월 13일 이후 사망)[20]
자녀 3명
1249년 또는 1254년 7월 15일[21]
향년 21–26세
디트헬름 3세c.1220
디트헬름 2세와 뇌샤텔의 게르트루데의 아들
1235년 1월 25일 – 1248년 9월 4일[14]엘리자베스
경. 1247년 (10월 이전)
자녀 없음
1248년 9월 4일
향년 27–28세
디트헬름 4세c.1240?
크라프트 1세와 부스낭의 엘리자베스의 아들
1249 – 1282/3[14]미혼1282년 4월 23일 이후[22] 또는 1283년
향년 41–42세
크라프트 2세c.1240?
크라프트 1세와 부스낭의 엘리자베스의 아들
1249 – 1261[14]미혼1261
향년 20–21세
프리드리히 3세1244?
크라프트 1세와 부스낭의 엘리자베스의 아들
1284년 4월 28일 – 1305/9[14]토겐부르크 백작령베르덴베르크의 클레멘티아
(1246-1282년 2월 28일)[23]
자녀 5명
1305년 12월 7일 또는 1309년 1월 17일[24]
향년 59–65세
크라프트 3세c.1280?
프리드리히 3세와 베르덴베르크의 클레멘티아의 아들
1305/9 – 1339년 3월 7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미혼1339년 3월 7일[25]
향년 58–59세
프리드리히 3세의 자녀들은 공동으로 통치했다.
프리드리히 4세 "젊은이"[26]c.1280
프리드리히 3세와 베르덴베르크의 클레멘티아의 아들
1305/9 – 1315년 11월 15일[14]프로흐부르크-홈베르크의 이다
(1316/28년 3월 19일 사망[27])
자녀 5명
1315년 11월 15일[28][29]
모르가르텐
향년 34–35세
디트헬름 5세c. 1300?
프리드리히 4세와 프로흐부르크-홈베르크의 이다의 아들
1315년 11월 15일 – 1337년 9월 21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그리제네르크의 아델라이드
(1371년 사망)
자녀 2명
1337년 9월 21일
그리나우
향년 36–37세
프리드리히 4세의 자녀들은 공동으로 통치했다.[28] 삼촌 크라프트 3세가 1339년에 사망할 때까지 함께 통치했다.[30]
프리드리히 5세 [31]
100px
c.1300?
프리드리히 4세와 프로흐부르크-홈베르크의 이다의 아들
1315년 11월 15일 – 1364년 2월 5일[14]바즈의 쿤이군데
(1308 - 1364년 2월)[32]
1337년 4월 23일
자녀 10명
1364년 2월 5일[33]
향년 63–64세
프리드리히 6세1349
프리드리히 5세와 바즈의 쿤이군데의 장남
1364년 2월 5일 – 1375년 1/5월[14]토겐부르크 백작령미혼1375년 1월 22일/5월 28일
향년 25–26세
프리드리히 5세의 아들들이 공동으로 통치했다.
디트헬름 6세 [34]1353
프리드리히 5세와 바즈의 쿤이군데의 차남
1364년 2월 5일 – 1385년 12월 27일[14]베르덴베르크-하일리겐베르크의 카타리나
(1355-1395년 6월 30일)[35]
자녀 3명
1385년 12월 27일
향년 31–32세
도나트 [2][14][36]1358
프리드리히 5세와 바즈의 쿤이군데의 삼남
1364년 2월 5일 – 1400년 11월 7일[14]합스부르크-라우펜부르크의 아그네스
(1387-1425)[37]
자녀 2명
1400년 11월 7일[38]
향년 41–42세
프리드리히 7세
100px
경. 1380
디트헬름 6세와 베르덴베르크-하일리겐베르크의 카타리나의 아들
1400년 11월 7일 – 1436년 4월 30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경. 1410/30
자녀 3명
1436년 4월 30일[39]
펠트키르히
향년 55–56세
그의 사망 이후, 생존한 자녀가 없어 아내를 상속자로 남겼다.
마치의 엘리자베스
100px
경.1370
마치의 울리히 4세와 키르히베르크의 아그네스의 딸
1436년 4월 30일 – 1446년 11월 24일토겐부르크 백작령1446년 11월 24일[14]
향년 75–76세
프리드리히 7세의 미망인이자 상속녀.


4. 토겐부르크 가문의 몰락과 유산

토겐부르크 가문은 13세기 초 키부르크 가문과 라퍼스빌 가문과의 상속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4] 1209년,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1세 "장로"(디트헬름 6세)와 그의 형제 토겐부르크의 프리드리히 1세는 백작으로 승격되었다.[14] 프리드리히 1세가 1217년경 사망한 후, 디트헬름 1세는 단독으로 통치했다.[18]

13세기 중반, 디트헬름 2세의 아들들인 프리드리히 2세, 디트헬름 3세, 크라프트 1세 "음유 시인"은 공동으로 통치했다.[14] 크라프트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두 아들 디트헬름 4세와 크라프트 2세가 공동 통치에 참여했다.[14]

14세기 초, 프리드리히 3세와 그의 아들 크라프트 3세, 프리드리히 4세 "젊은이"가 공동으로 통치했다.[14] 프리드리히 4세는 1315년 모르가르텐 전투에서 전사했다.[28][29] 이후 그의 아들 디트헬름 5세와 프리드리히 5세가 공동 통치했고, 1339년 삼촌 크라프트 3세가 사망할 때까지 함께 통치했다.[30]

14세기 후반, 프리드리히 5세의 아들들인 프리드리히 6세, 디트헬름 6세, 도나트가 공동으로 통치했다.[14] 1400년 도나트가 사망하고,[38] 그의 조카인 프리드리히 7세가 상속받아 단독 통치했다.[14]

프리드리히 7세는 1436년 상속자 없이 사망했고,[39] 그의 미망인이자 상속녀인 마치의 엘리자베스가 1446년까지 통치했다.[14]

토겐부르크 가문은 중세 스위스의 유력 귀족 가문으로, 토겐부르크 백작령을 다스렸다. 토겐부르크 가문의 기원은 11세기 초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1세로 거슬러 올라간다.[7] 그는 토겐부르크의 최초로 기록된 영주이며, 가문의 창시자로 여겨진다.[7]

디트헬름 5세는 리터하우스 부비콘에 중요한 기증을 했으며, 그곳에 묻혔다. 그의 무덤에는 가족과 함께 프레스코화로 묘사되어 있다.[16]

1209년,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1세 "장로"(디트헬름 6세)와 토겐부르크의 프리드리히 1세 형제는 백작으로 승격되었다.[14] 프리드리히 1세가 암살된 후, 디트헬름 1세는 단독으로 통치했다.

프리드리히 7세는 상속자 없이 사망하여, 그의 아내인 마치의 엘리자베스가 상속자가 되었다.[39] 엘리자베스는 토겐부르크 백작령을 다스리다가 1446년에 사망했다.[14]

4. 1. 토겐부르크 가문의 몰락

토겐부르크 가문은 13세기 초 키부르크 가문과 라퍼스빌 가문과의 상속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209년, 디트헬름 1세와 그의 형제 프리드리히 1세는 백작으로 승격되었다.[14] 프리드리히 1세가 1217년경 사망한 후, 디트헬름 1세는 단독으로 통치했다.[18]

13세기 중반, 디트헬름 2세의 아들들인 프리드리히 2세, 디트헬름 3세, 크라프트 1세는 공동으로 통치했다.[14] 크라프트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두 아들 디트헬름 4세와 크라프트 2세가 공동 통치에 참여했다.[14]

14세기 초, 프리드리히 3세와 그의 아들 크라프트 3세, 프리드리히 4세가 공동으로 통치했다.[14] 프리드리히 4세는 1315년 모르가르텐 전투에서 전사했다.[28][29] 이후 그의 아들 디트헬름 5세와 프리드리히 5세가 공동 통치했고, 1339년 삼촌 크라프트 3세가 사망할 때까지 함께 통치했다.[30]

14세기 후반, 프리드리히 5세의 아들들인 프리드리히 6세, 디트헬름 6세, 도나트가 공동으로 통치했다.[14] 1400년 도나트가 사망하고,[38] 그의 조카인 프리드리히 7세가 상속받아 단독 통치했다.[14]

프리드리히 7세는 1436년 상속자 없이 사망했고,[39] 그의 미망인이자 상속녀인 마치의 엘리자베스가 1446년까지 통치했다.[14]

4. 2. 토겐부르크 가문의 유산

토겐부르크 가문은 중세 스위스의 유력 귀족 가문으로, 토겐부르크 백작령을 다스렸다. 토겐부르크 가문의 기원은 11세기 초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1세로 거슬러 올라간다.[7] 그는 토겐부르크의 최초로 기록된 영주이며, 가문의 창시자로 여겨진다.[7]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5세는 리터하우스 부비콘에 중요한 기증을 했으며, 그곳에 묻혔다. 그의 무덤에는 가족과 함께 프레스코화로 묘사되어 있다.[16]

1209년,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1세 "장로"(디트헬름 6세)와 토겐부르크의 프리드리히 1세 형제는 백작으로 승격되었다.[14] 프리드리히 1세가 암살된 후, 디트헬름 1세는 단독으로 통치했다.[14]

토겐부르크의 프리드리히 7세는 상속자 없이 사망하여, 그의 아내인 마치의 엘리자베스가 상속자가 되었다.[39] 엘리자베스는 토겐부르크 백작령을 다스리다가 1446년에 사망했다.[14]

군주출생재위통치 지역배우자사망비고
토겐부르크의 디트헬름 1세?fl.1044[7]토겐부르크 영지불명
최소 두 명의 자녀
?토겐부르크의 최초 기록된 영주[7]
베르톨트?
디트헬름 1세의 아들
fl.1044[7]토겐부르크 영지불명?아버지와 동일한 문서를 통해 확인[7]
울리히?
디트헬름 1세의 아들
불명?
풀크난트?
울리히 또는 풀크난트의 아들
? – 1081토겐부르크 영지불명1081[8]형제였지만, 누가 전임 백작의 뒤를 이었는지는 불명[9]
디트헬름 2세?
울리히 또는 풀크난트의 아들
1081 – 1102?토겐부르크 영지불명1102년 7월 14일 이후[10]
디트헬름 3세?
디트헬름 2세의 아들
c.1102 – c.1146토겐부르크 영지불명c.1146[11]슈틸링겐 가문 출신의 쿤이군데라는 여동생 존재[11]
디트헬름 4세?
디트헬름 3세의 아들
c.1146 – 1176?토겐부르크 영지티어슈타인의 이타[12] (성녀 토겐부르크의 이다?)
(1200/1226년 8월 19일 사망?)
자녀 1명
c.1176[13]
디트헬름 5세c.1140
디트헬름 4세 (그리고 이타?)의 아들
c.1176 – 1207[14]토겐부르크 영지이타?[15] (키르히베르크 출신?) (성녀 토겐부르크의 이다?)
자녀 1~2명
1205년 1월 4일 또는 1207년 1월 5일[16]리터하우스 부비콘에 중요한 기증, 그곳에 묻힘[16]
디트헬름 1세 "장로"c.1160
디트헬름 5세 (그리고 키르히베르크의 이타?)의 장남
c. 1207–1209[14]토겐부르크 영지라퍼스빌의 구타[17] (성녀 토겐부르크의 이다?)
(1170-1227년 11월 24일 또는 1227년 이후 사망)
1209년 이전 또는 경. 1209
자녀 3명
1230
향년 69–70세
공동 통치, 디트헬름은 영주로서 6세. 1209년 백작으로 승격. 프리드리히 암살 후 단독 통치.
1209–1230[14]토겐부르크 백작령
프리드리히 1세c.1160
디트헬름 5세 (그리고 이타?)의 차남
c. 1207–1209[14]토겐부르크 영지미혼c.1217[18]
1209–1217[14]토겐부르크 백작령
디트헬름 2세 "젊은이"1209
디트헬름 1세와 라퍼스빌의 구타의 아들
1230 – 1235년 1월 25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뇌샤텔의 게르트루데
경. 1220 또는 1221년 1월
자녀 9명
1235년 1월 25일[19]
프리드리히 2세c.1220
디트헬름 2세와 뇌샤텔의 게르트루데의 아들
1235년 1월 25일 – 1284년 4월 28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미혼1284년 4월 28일프리드리히, 디트헬름, 크라프트는 디트헬름 2세의 아들로서 공동 통치. 크라프트 사망 후, 디트헬름과 크라프트 2세로 교체.
크라프트 1세 "음유 시인"1228
디트헬름 2세와 뇌샤텔의 게르트루데의 아들
1235년 1월 25일 – 1249/54년 7월 15일[14]부스낭의 엘리자베스
(1277년 1월 13일 이후 사망)[20]
자녀 3명
1249년 또는 1254년 7월 15일[21]
디트헬름 3세c.1220
디트헬름 2세와 뇌샤텔의 게르트루데의 아들
1235년 1월 25일 – 1248년 9월 4일[14]엘리자베스
경. 1247년 (10월 이전)
자녀 없음
1248년 9월 4일
디트헬름 4세c.1240?
크라프트 1세와 부스낭의 엘리자베스의 아들
1249 – 1282/3[14]미혼1282년 4월 23일 이후[22] 또는 1283
크라프트 2세c.1240?
크라프트 1세와 부스낭의 엘리자베스의 아들
1249 – 1261[14]미혼1261
프리드리히 3세1244?
크라프트 1세와 부스낭의 엘리자베스의 아들
1284년 4월 28일 – 1305/9[14]토겐부르크 백작령베르덴베르크의 클레멘티아
(1246-1282년 2월 28일)[23]
자녀 5명
1305년 12월 7일 또는 1309년 1월 17일[24]
크라프트 3세c.1280?
프리드리히 3세와 베르덴베르크의 클레멘티아의 아들
1305/9 – 1339년 3월 7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미혼1339년 3월 7일[25]프리드리히 3세의 자녀들은 공동 통치.
프리드리히 4세 "젊은이"[26]c.1280
프리드리히 3세와 베르덴베르크의 클레멘티아의 아들
1305/9 – 1315년 11월 15일[14]프로흐부르크-홈베르크의 이다
(1316/28년 3월 19일 사망[27])
자녀 5명
1315년 11월 15일[28][29]
디트헬름 5세c. 1300?
프리드리히 4세와 프로흐부르크-홈베르크의 이다의 아들
1315년 11월 15일 – 1337년 9월 21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그리제네르크의 아델라이드
(1371년 사망)
자녀 2명
1337년 9월 21일프리드리히 4세의 자녀들은 공동 통치.[28] 크라프트 3세가 1339년에 사망할 때까지 함께 통치.[30]
프리드리히 5세 [31]c.1300?
프리드리히 4세와 프로흐부르크-홈베르크의 이다의 아들
1315년 11월 15일 – 1364년 2월 5일[14]바즈의 쿤이군데
(1308 - 1364년 2월)[32]
1337년 4월 23일
자녀 10명
1364년 2월 5일[33]
프리드리히 6세1349
프리드리히 5세와 바즈의 쿤이군데의 장남
1364년 2월 5일 – 1375년 1/5월[14]토겐부르크 백작령미혼1375년 1월 22일/5월 28일프리드리히 5세의 아들들이 공동 통치.
디트헬름 6세 [34]1353
프리드리히 5세와 바즈의 쿤이군데의 차남
1364년 2월 5일 – 1385년 12월 27일[14]베르덴베르크-하일리겐베르크의 카타리나
(1355-1395년 6월 30일)[35]
자녀 3명
1385년 12월 27일
도나트 [2][14][36]1358
프리드리히 5세와 바즈의 쿤이군데의 삼남
1364년 2월 5일 – 1400년 11월 7일[14]합스부르크-라우펜부르크의 아그네스
(1387-1425)[37]
자녀 2명
1400년 11월 7일[38]
프리드리히 7세경. 1380
디트헬름 6세와 베르덴베르크-하일리겐베르크의 카타리나의 아들
1400년 11월 7일 – 1436년 4월 30일[14]토겐부르크 백작령경. 1410/30
자녀 3명
1436년 4월 30일[39]그의 사망 이후, 생존한 자녀가 없어 아내를 상속자로 남김.
마치의 엘리자베스경.1370
마치의 울리히 4세와 키르히베르크의 아그네스의 딸
1436년 4월 30일 – 1446년 11월 24일토겐부르크 백작령1446년 11월 24일[14]프리드리히 7세의 미망인이자 상속녀.


5. 토겐부르크 가문과 한국의 관계

6. 참고 문헌


  • Cawley, Charles (2001), ''Medieval Lands - Foundation for Medieval Genealogy'', [http://fmg.ac/Projects/MedLands/SWABIAN%20NOBILITY.htm#DiethelmIIIToggenburgdiedafter1176 ''Grafen von Toggenburg''], fmg.ac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C II 16, Nr. 215 Graf Donat von Toggenburg, Herr zu Brettengow und Tavas, hat den Kirchensatz von Elsow dem Abt und Konvent des Prämonstr... (1398.04.23) https://web.archive.[...] Staatsarchiv des Kantons Zürich 2015-08-14
[3] 웹사이트 C II 12, Nr. 277 Graf Fridrich von Toggenburg, Herr zu Brettengow und Tafas, schenkt zum eigenen Seelenheil und dem seiner Vorfahren dem ... (1407.01.21) https://web.archive.[...] Staatsarchiv des Kantons Zürich 2015-08-14
[4] 웹사이트 Summarium Amt S, Band 1, Seite 10 http://www.klosterar[...] Klosterarchiv Einsiedeln 2015-07-31
[5] 웹사이트 A 142.4, Nr. 9 Stiftung einer Messe am Altar einer Kapelle des Klosters Rüti durch Gräfin Elisabeth von Toggenburg, 1439.09.05 (Dokument) https://web.archive.[...] Staatsarchiv des Kantons Zürich 2015-08-02
[6] 웹사이트 C II 12, Nr. 407 Gräfin Elizabeth von Toggemburg geborene von Maetsch, Witwe, - deren [im Jahr 1436] verstorbener Mann Graf Ffriedrich vo... (1442.06.20) https://web.archive.[...] Staatsarchiv des Kantons Zürich 2015-08-10
[7] 서적 Urkundenbuch Zürich 1888
[8] 서적 Casuum Sancti Galli Cont. II
[9] 서적 Ex Libro Vitæ Einsidlensi [Liber Heremi] 1885
[10] 간행물 Quellen zur Schweizer Geschichte Basel 1881
[11] 서적 Württembergisches Urkundenbuch II
[12] 서적 Cod Giessensis
[13] 서적 Regesta Episcoporum Constantiensium Innsbruck 1895
[14] HLS Toggenburg (S.G.)
[15] 서적 Cod Giessensis
[16] 서적 Urkundenbuch Zürich 1888
[17] 서적 Sankt-Gallen Urkundenbuch
[18] 서적 Urkundenbuch Zürich 1888
[19] 서적 Sankt-Gallen Urkundenbuch
[20] 서적 Geschichte des Thurgaus Zürich 1828
[21] 서적 Bern Urkunden
[22] 서적 1737
[23] 웹사이트 Clementia von Montfort http://www.geni.com/[...]
[24] 문서
[25] 서적 Necrologia Germaniæ
[26] 웹사이트 Friedrich IV, Graf von Toggenburg http://www.geni.com/[...]
[27] 서적 Necrologia Germaniæ
[28] 문서
[29] 서적 Kleine Toggenburger Chroniken St. Gallen 1874
[30] 서적 Sankt-Gallen Urkundenbuch
[31] 웹사이트 Friedrich V, Graf von Toggenburg http://www.geni.com/[...]
[32] 웹사이트 Kunigunde von Vaz http://www.geni.com/[...]
[33] 문서
[34] 웹사이트 Diethelm VI, Graf von Toggenburg http://www.geni.com/[...]
[35] 웹사이트 Katharina von Werdenberg-Heilingenberg http://www.geni.com/[...]
[36] 웹사이트 Donat von Toggenburg http://www.geni.com/[...]
[37] 웹사이트 Agnes von Habsburg-Laufenburg http://www.geni.com/[...]
[38] 간행물 Necrologia Germaniæ MGH
[39] 논문 'Urkunden der vier vorarlbergischen Herrschaftern und der Grafen von Montfort' Archiv für Kunde österreichischen Geschichts-Quellen 1848
[40] 웹인용 C II 12, Nr. 277 Graf Fridrich von Toggenburg, Herr zu Brettengow und Tafas, schenkt zum eigenen Seelenheil und dem seiner Vorfahren dem ... (1407.01.21) http://suche.staatsa[...] Staatsarchiv des Kantons Zürich 2015-08-14
[41] 웹인용 C II 16, Nr. 215 Graf Donat von Toggenburg, Herr zu Brettengow und Tavas, hat den Kirchensatz von Elsow dem Abt und Konvent des Prämonstr... (1398.04.23) http://suche.staatsa[...] Staatsarchiv des Kantons Zürich 2015-08-14
[42] 웹인용 C II 12, Nr. 407 Gräfin Elizabeth von Toggemburg geborene von Maetsch, Witwe, - deren [im Jahr 1436] verstorbener Mann Graf Ffriedrich vo... (1442.06.20) http://suche.staatsa[...] Staatsarchiv des Kantons Zürich 2015-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